미제스와이어
본문 바로가기
팝업레이어 알림
팝업레이어 알림이 없습니다.
저자
역자
메인메뉴
미제스에세이
Issue Fighting
교육
on-line 교육
off-line 교육
About
오스트리아학파의 4대 거장
설립취지
사업계획
비전
운영위원
커뮤니티
공지사항
행사
게재예정 에세이
Contact
메일링서비스
메인 최신글
미제스에세이
명목주의와 잘못된 경제학
2025.07.14ㆍ
Daniel Morena Viton
(
이민창
역)
명목주의 사상은 과학혁명에 영향을 미쳐 과학이 형이상학에서 벗어나게 했고, 기계론적 관점과 모든 학문의 수학화를 낳았다. 그렇지만 이 패러다임은 경제적 사고에 몇 가지 오류를 초래하였다.
1
과잉인구 오류: 더 많은 사람이 더 많은 지식과 번영을 의미하는 이유
2025.07.07ㆍ
Amir Iraji
(
황수연
역)
폴 에를리히에서 빌 게이츠에 이르기까지, 저명한 미국인들은 “과잉인구”를 통한 파멸을 예측했다. 비록 큰 인구 재앙이 일어나지 않았을지라도, 그것은 보통의 혐의자들이 거짓 경고하는 것을 단념시키지 못한다.
1
진정한 전쟁 비용
2025.06.30ㆍ
Ulrich Frommy
(
박종운
역)
이 글은 조셉 샐러노가 자신의 책 《화폐: 건전한 화폐와 불건전한 화폐》에서 설명했던 바에 따라 진정한 전쟁 비용을 탐구하고 있다. 전쟁은, 케인스주의와는 달리, 부를 파괴하고 경제를 내부로부터 파괴한다.
2
경제학자처럼 사고를 한 윤리학자 폴 헤인
2025.06.24ㆍ
Jane L. Johnson
(
김행범
역)
폴 헤인은 경제학자처럼 생각한 윤리학자였는가 아니면 그는 대신 윤리학자처럼 생각한 경제학자였는가? 그것은 좀 양쪽 다였다. 헤인의 인기 있는 교과서, ≪경제학적 사고방식≫은 경제학이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는가에 관해 많은 학생을 교육했다.
2
정부와 경제 성장
2025.06.17ㆍ
Frank Shostak
(
이종선
역)
현대 거시경제학 이론은 정부의 지출, 과세, 통화 발행이 경제 성장에 필수적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자들은 정부가 경제를 억누른다고 지적한다.
1
스페인 정전사태와 재생에너지의 비용
2025.06.10ㆍ
Kristoffer Mousten Hansen
(
이민창
역)
미국과 유럽의 엘리트들이 스페인의 최근 정전사태가 이상 기후 때문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는 스페인이 재생 가능 에너지에 의존한 것이 원인이었다.
2
최적 관세들의 오류
2025.06.03ㆍ
Kristoffer Mousten Hansen
(
황수연
역)
주류 경제학자들은 “최적” 세율들을 발견하는 강박관념에 사로잡혀 있었고, 니콜라스 칼도르의 1940년 “최적” 관세 공식화도 예외가 아니다. 그러나 오스트리아학파 경제학자들은, 과세가 일으키는 해를 고려하면, “최적” 조세 같은 것은 없다는 점을 알고 있다.
1
"조세 국가”의 위험성에 대한 슘페터의 경고
2025.05.27ㆍ
Joseph Solis-Mullen
(
권혁철
역)
중세 군주제와는 달리 현대 국가는 단지 국가 자신의 유지를 위해서나 국가를 방위하기 위해 세금을 부과하는 것이 아니다. 현대 국가는 사회를 재편하고 점점 더 커져가는 불만 인구를 관리하기 위해 과세한다.
1
미제스(1881~1973)는 누구인가?
“문제는 언제나 똑같다: 정부이냐 아니면 시장이냐 뿐이다. 제3의 해결은 없다.”
미제스(Ludwig Heinrich Edler von Mises)는 1881년 9월 29일 당시 오스트리아 영토였던 갈리치아(Galicia)의 렘베르그(Lemberg)에서 태어났다.
나치 정권을 피해 미국으로 간 미제스는 20년 넘는 기간을 통해 오스트리아학파의 영감을 미국에 불어 넣었다.
미제스는 인간은 목적지향적으로 행동한다는 공리를 바탕으로 경제학을 융합적이고 연역적인 과학으로 발전시켰다.
미제스는 정부의 정책은 개인의 사유재산을 보호하는 데에만 엄격하게 제한되어야 한다고 했다.
하이에크(1899~1992)는 누구인가?
“물질적 지위의 평등 요구는 전체주의 정부에서나 가능한 일이다.”
하이에크(Friedrich A. von Hayek, 1899-1992)는 오스트리아에서 태어나 영국, 미국 및 독일에서 활약했다.
하이에크는 인류 문명의 원천은 자유라고 주장하는 진화적 합리주의 전통의 자유주의의 이론가였다.
1974년 화폐와 경기 변동에 대한 선구적 연구 및 제도의 상호의존성을 분석한 공로로 노벨 경제학상을 수상했다.
사회주의 및 전체주의를 비판하고, 케인스의 이론에 대항하여 자유시장 경제 체제를 옹호하였다.
그는 좁은 의미의 경제학에만 머무르지 않고 법ㆍ정치ㆍ사회철학ㆍ심리학에 이르는 폭넓은 지적 활동을 보여주었고 그것이 곧 경제학이라고 보았다.
멩거(1840~1921)는 누구인가?
“모든 것은 인과의 법칙에 지배받는다. 이 위대한 원칙에는 어떤 예외도 없다.”
멩거(Carl Menger)는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의 갈리시아(Galicia)에서 태어났다.
1871년 출간한 그의 『경제학 원리(Principles of Economics)』는 오스트리아학파 발전의 원동력이 되었다.
멩거는 마르크스의 노동 이론을 공격하면서 가치는 주관적 개념임을 보여주었고, 경제적 선택의 설명으로서 한계효용의 개념을 개발했다. 이것은 경제학의 혁명이었다.
멩거는 사회과학의 법칙들은 인간 행동의 원리들로부터 연역될 수 있다고 하여 격렬한 방법논쟁을 촉발했다.
멩거는 화폐는 자생적으로 형성되며 여기에 정부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고 했다.
뵘바베르크(1851~1914)는 누구인가?
“노동자는 자신의 몫을 자본의 희생으로 증가시킬 수 없다.”
뵘바베르크(Eugen von Böhm-Bawerk)는 1851년 2월 12일 지금의 브르노(Bruno)인 브륀(Brün)에서 태어났다.
멩거(Carl Menger)의 ‘경제학 원리(Principles of Economics)’는 그의 경제학 세계에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뵘바베르크의 ‘자본과 이자(Capital and Interest)’는 현대 경제이론에 가장 뛰어난 기여를 한 책들 중의 하나이다.
이 책을 통해 자본가는 노동자를 착취한다는 마르크스의 이론을 신랄하게 비판했으며, 생산 개념에 시간을 도입하여 이자 개념을 규명했다.
오스트리안 경제학이 자본 이론에 관한 한 어떤 이론들보다 탁월한 것은 그의 공로이다.
공지사항
비영리 사단법인 미제스와이어
미제스에세이를 펜앤드마이크에서도 읽을 수 있습니다.
Mises Institute 한국어판 개설
인기 미제스에세이
경제학자처럼 사고를 한 윤리학자 폴 헤인
정부와 경제 성장
진정한 전쟁 비용
과잉인구 오류: 더 많은 사람이 더 많은 지식과 번영을 의미하는 이유
명목주의와 잘못된 경제학
Contact
miseskr@naver.com
Copyright © 2025 미제스와이어. All rights reserved.